티스토리 뷰

오늘은 저번에 했던 것을 이어서 최종적으로 Steady State의 실업률을 구해보도록 할게요

저번글을 보지 않으셨던 분들은 1편을 보고 봐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

 

<Steady State의 의미>

먼저 'Steady State'란 변화하지 않고 고정되었다는 것을 의미해요

즉 Steady State variable이란 시간이 지나도 변화하지 않고 고정되어 있는 변수를 의미합니다

 

<Steady State Unemployment Rate 구하기>

Steady State Unemployment Rate을 구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변수가 필요합니다.

1. UpH(w*) 

2. S(1-U)

이 두 가지 변수의 값이 같을 때 value의 변화가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Steady State 상태의 균형이라고 말합니다

 

1. UpH(w*)

사실 이 변수는 총 3가지 부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U / p / H(w*) 각각 하나씩 살펴보도록 할게요

1) U : 실업률

2) p : 실업 상태에 있는 사람들이 일자리 제안을 받는 빈도

3) H(w*) : 실업 상태에 있는 사람 중 w보다 높은 임금 제안을 받을 확률

즉, UpH(w*)은 실업 상태에 있는 사람들이 구직을 하는 상태로 변화하는 비율(U->E)을 의미합니다

 

2. S(1-U)

앞선 변수와 마찬가지로 이것도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S / (1-U)

1) S : 고용 상태에 있는 사람들이 실업 상태가 되는 비율

2) (1-U) : 고용 상태에 있는 사람들의 비율

 

이 두가지 변수와 관련된 그래프가 만나는 교점이 바로 Steady State Unemployment Rate입니다

 

출처-Macroeconomics(2017), Williamson Stephen D

<Reservation wage와 Steady State Unemployment Rate의 관계>

출처-Macroeconomics(2017), Williamson Stephen D

만약 b(Unemployment Insurance Benefit)가 상승한 경우를 가정해볼게요

실업 급여가 상승한다면 실업 상태에 있는 사람들의 효용이 증가할 것이고 Vu 그래프는 상승하게 됩니다

Vu 그래프가 상승하면 w*(Resevation wage)도 상승하게 되고 이는 Unemployment Rate 그래프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따라서 UpH(w*) 그래프는 하락하게 되고 U는 상승하게 됩니다.

 

1편에서 배웠던 내용이 이렇게 연결되다니 신기하지 않나요??

오늘도 읽어주셔서 감사드리고 다음에는 또 다른 내용으로 돌아오도록 하겠습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