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경상수지의 의미>

수지란 수입과 지출을 아울러 이르는 말을 의미한다

즉, 경상수지란 항상 있는 일에 대한 수입과 지출을 의미한다

경상수지에는 크게 4가지 요소가 포함된다

1) 상품

2) 서비스

3) 소득

4) 국외순수취경상이전

이 중 4번은 비중이 거의 없기 때문에 무시해도 무방하다

 

<무역수지의 의미>

경상수지의 요소 중 1번과 2번, 즉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수출입을 무역수지라고 한다

결론적으로 무역수지는 경상수지의 일부분이다

 

<한국의 현 위치>

한국은 현재 앞서 언급한 경상수지의 요소 중 무역수지의 비중이 가장 크다

하지만 일본은 3번, 소득수지의 비중이 가장 크다

일본도 과거에는 우리와 같이 무역수지의 비중이 가장 높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소득수지의 비중이 늘어나기 시작했다

일본과 같이 많은 전문가들이 우리나라도 미래에는 무역수지의 비중이 줄어들고 소득수지의 비중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국제수지 발전 단계설>

이는 '국제수지 발전 단계설'에 근거해서 예측한 결과이다

이 이론에 따르면 현재 한국은 Immature Creditor Country, 무역수지는 정치되어 이전보다 감소하지만 대외자산이늘어나 소득수지가 흑자로 전환되는 단계에 있다

일본은 Immature Creditor Country to Mature Creditor Country, 세계시장에서의 경쟁력 하락으로 무역수지는 적자를 맞지만, 대외자산은 늘어 소득수지가 확대되는 상태이다

결국 두 경우 모두 경상수지는 흑자를 기록하게 된다

 

지금까지 우리는 뉴스에서 많이 다루는 경상수지와 무역수지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았다.

정리하자면 경상수지는 우리의 전반적인 생활에 대한 수입과 지출, 무역수지는 그 중에서도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수입과 지출을 의미한다고 기억하면 된다

이제 뉴스에서 '경상수지와 무역수지'라는 단어를 만나면 당황하지 않기를 바란다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